Today
Total
Archive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관리 메뉴

지적 여행을 즐겨하는 책 속 탐험가

김상은 作,『누구나 하루 30분 투자로 월 100만원 더 버는 블로그 부업』을 읽고서. 본문

내가 바라보는 책 속 세계

김상은 作,『누구나 하루 30분 투자로 월 100만원 더 버는 블로그 부업』을 읽고서.

Hee Su : ) 2020. 10. 27. 18:46

 

김상은 作, 「누구나 하루 30분 투자로 월 100만원 더 버는 블로그 부업」 , 나비의 활주로 출판.

 

  오프라인 서점에 방문했다 책 제목이 눈에 띄어 집어 들게 된 경우로 책 속 내용이 어떤 걸까 궁금해 구입했다.

 

다 읽는데는 넉넉히 세네시간 잡으면 될 것 같고, 책 읽는 속도가 빠른 이들은 한두시간 만에도 다 읽을 수 있을 듯 하다.

 

나는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한지 약 2개월이 되어가는 초보 블린이로써 블로그 관련 서적을 처음 읽어본 것인데

 

블로그 운영에 있어 약 5%~10% 정도의 도움이 될 것 같은 느낌이랄까.

 

  317 페이지의 도서를 읽고 나서 내가 몰랐던 블로그 운영에 실질적인 tip이 될만한 사실을 새로이 알게 될 것을 기

 

대하고 구입하였고, 어느 측면에 있어선 몰랐던 사실에 대해 알게 된 부분도 있다. 

 

예를 들자면 C-RANK가 무엇인지, DIA 로직은 뭘 뜻하는지, 유해문서와 저품질의 범주라던지, 블로그 4대 지수의 정의,

 

롱 테일 키워드와 같은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모르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쉽게 풀어 설명해주어 읽는 순간 바로 이해가

 

되었다. 

 

  수많은 sns 채널이 있는 요즈음 왜 우리는 '네이버 블로그를 활용하여야 하는가' 에 대한 논리적인 당위성을 가질 수 있

 

는 이야기를 뒤이어 서술하고 있는데 그 중 내가 흥미롭게 읽은 대목은 아래와 같다. 

 

  "현실 세계 속에서 오프라인 건물을 매입하면 건물주가 되듯 자신만의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은 온라인 건물주

 

가 되는 것이다." 

 

  하루 하루 포스팅 한 게시글들이 db에 차곡차곡 축적되어 네이버 키워드라는 땅에 건물을 세우는 개념이라는 이 표현

 

은 공감되면서도 표현이 참 재미졌다. 우리가 잠 자고 있는 사이, 일상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기분 전환 삼아 여행지에

 

서 여행을 즐기고 있는 사이, 직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순간에도 우리가 그동안 꾸준히 작성해왔던 게시글들은 누군가

 

에 의해 검색되고 읽혀지고 또 일정부분의  cpc(click per cost) 비용으로써 애드포스트가 지급되고 있다는 사실은 마치

 

내가 저작권료를 받는 저작권자가 된 느낌이 든다. 

 

  내가 촬영한 사진과 그 사진을 적절히 편집하여 활자로 구성한 웰 메이드 내 게시글 하단이나 상단에 달리는 애드포스

 

트 광고를 누군가가 누를 때 마다 내게 소액의 금액이 지급되는 시스템이라니.

 

책을 출판한 작가가 아니어도 누구나 진정성과 성의를 갖고 임하면 어느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는 블로그 제도는 내게

 

있어 삶의 의욕 촉진제와도 같다.  내가 글을 올렸을 때 일절 아무 보상도 따라오지 않는다면 이내 지쳐버리고 말 텐데,

 

아주 몇십원의 소액이어도 그에 따른 보상이 따른다면 내가 포스팅을 할 때 조금 더 동기부여가 되어 열심히 하게 되는

 

효과도 덤으로 얻게 되기 때문이다.

 

본 책 내용에는 네이버 블로그와 관련된 이야기 이외에도 구글의 티스토리 애드센스 이야기도 언급되며, 

 

네이버 스토어에서의 구매대행 관련한 이야기도 짧게 서술되어 있다.

 

  한줄 평을 하자면 나처럼 네이버 블로그에 입문한지 얼마 되지 않는 경험이 적은 입문자들이 읽기에 적합한 도서이다.

 

블로그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감에 있어 어떤 마인드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스스로를 되돌아 볼 수 있

 

게 되었고, 사진촬영하고 글을 작문하는데 있어 정도를 지키는 일이 가장 롱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되내이기도 했다.

 

Back to the basic!

 

 

 

 

 

 

Comments